사업소개

Technical Introduction

지반의 굴착 없이 원뿔의 파쇄헤드와 날을 이용하여, 기존관을 파쇄하고 후미에 연결된 신관으로 관을 교체
지하지장물에 의해 굴착이 어려운 구간 및 굴착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협소 구간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의 비굴착 교체 공법

A작업구에 파쇄헤드와 신관을 연결하고 B작업구에 견인장비를 설치하여 견인
기존관의 위치로 신관이 매설되며, 파쇄된 기존관은 신관 주변에 잔존
모든 관종에 적용 가능하며, 신관은 보호를 위해 PE 다중 피복관 사용

비굴착 교체란?

∙ 지반의 굴착 없이 원뿔의 파쇄헤드와 날을 이용하여, 기존관을 파쇄하고 후미에 연결된 신관으로 관을 교체 ∙ 지하지장물에 의해 굴착이 어려운 구간 및 굴착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협소 구간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의 비굴착 교체 공법

PE 다중 피복관

내마모성, 내부식성 소재로 강도가 크고 부식이 되지 않아 장기간 부식으로 인한 파손이 없음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어 시간이 지나더라도 변질되지 않음 삽입되는 PE관은 완전구조보강이 가능하므로 외부하중 및 충격에 강함 높은 연성으로 인하여 지진, 부등침하, 지하수 유출로 인한 지반 변형 등에서도 안전 유지관리 횟수가 줄어들고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감소

다발관, 불용관 제거

∙ 관로 매설지점 주변에 지장물(통신관, 가스관 등)이 매설되어 있는 경우
배수관로에서 직접 분기해서 일반 가정집(수용가)으로 이송되는 과정이나 불용관에서 누수가 빈번하게 발생
> 비굴착 기술을 활용하여 노후 매설관 교체와 다발관 정리 및 불용관 제거로 유수율 향상에 기여
다발관, 불용관 제거
1

소구경
(D15mm ~ D80mm)

∙ 확관 및 파쇄 헤드의 다단 연결 사용으로 기존 90도 곡관부 까지 적용 ∙ 장비구성 : pulling unit, Power Pack, Wire, burst head
구분 제원
대상 관경 D15mm ~ D80mm
대상 관종(노후관) SP, DCIP를 제외한 전 관종
교체 관종(신관) PE(Polyethylene) 다중피복관
적용거리 50m
견인 부재 Wire
견인력 Max. 15, 30ton

[Pulling Unit(15ton)]

[Pulling Unit(30ton)]

[Power Pack]

2

중구경
(D100mm ~ D500mm)

∙ 파쇄헤드 크기는 마찰을 줄이고 신관 설치시 필요 공간의 확보를 위해 기존관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 ∙ 장비구성 : pulling unit, Power Pack, Steel rod & Wire, burst head
구분 제원
대상 관경 D100mm ~ D500mm
대상 관종(노후관) 전관종
교체 관종(신관) PE(Polyethylene) 다중 피복관
적용거리 100m
견인 부재 Steel rod & Wire
견인력 Max. 50, 100, 150ton

[Pulling Unit(50ton)]

[Pulling Unit(100ton)]

[Power Pack]

3

하수관로 교체(기존 맨홀 사용)

∙ 터파기 공사 없이 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맨홀 내부에서 적용이 가능한 견인 지그 적용 ∙ 견인장비 소형화를 위한 동적 파쇄헤드 개발(견인력 최소화) ∙ 맨홀 내부에서 신관을 인입하기 위해 순차적 연결 방안 구현
[맨홀 지그] [동적 파쇄헤드]
구분 제원
대상 관경 D200mm 이상
대상 관종(노후관) 전관종
교체 관종 PVC 또는 PE(Polyethylene)
적용거리 50m 이상
견인 부재 Wire
견인력 Max. 30ton
하수처리시설 하수처리시설 하수처리시설 하수처리시설